본문으로 바로가기

  49제의 의미와 계산방법 알아보기  


사람이 죽으면 장례식을 치르고 49일이 지나면 49제(49재)를 치르게 됩니다. 아마 주변을 통해서 이 단어를 들어보신 적은 있으시겠지만, 자세한 의미에 대해서는 모르실지도 모릅니다. 보통은 49일이 지나면 다음 생이 정해지게 된다고 하는데, 이 기간에 행해지는 것이 49제(49재) 입니다.



49제49재라고도 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사라는 의미의 49제라는 단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49제의 의미와 계산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인데, 유교의 조령숭배사상불교의 윤회사상이 합쳐진 것으로 여겨집니다. 사람이 죽은 다음 망자를 위해 7일 마다 7번 기도를 드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칠칠재(七七齋)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을 받기까지 49일 동안 중음이라는 상태에 놓이게 되니다. 중음은 죽은 후 다음 생을 받기 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이 기간동안 망자를 위해 7일마다 기도하고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이 49제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49제는 죽은 사람의 다음 생이 좋은 생이 되기를 비는 것입니다. 고인을 위해 후손, 가족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기도이며, 제사인 것입니다.





49제의 계산은 돌아가신 날을 1일로 잡아 48일 후가 되겠습니다. 즉, 돌아가신 날로부터 48일 후를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이 계산은 네이버 D DAY 계산기를 통해서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